흥미를 위한 공간/공식 시리즈(OFFICIAL)

공식적인 마지막 빙하기는 언제일까?

페어럴 2025. 6. 18. 17:33
728x90

공식적인 마지막 빙하기는 언제일까?

 

빙하기(Ice Age)는 지구 기후 역사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 장기적인 한랭기를 말한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마지막 빙하기'는 언제였으며, 그 정확한 정의는 무엇일까? 이번 글에서는 공식적인 마지막 빙하기의 시점과 의미, 그리고 관련된 과학적 배경을 SEO 최적화 형식에 맞춰 정리한다.


1. 빙하기란 무엇인가?

빙하기(Ice Age)는 지구의 평균 기온이 낮아져 극지방 빙하가 확장되고, 중위도 지역까지 만년설이 내려앉는 기간을 말한다. 빙하기는 단일 사건이 아닌 수십만~수백만 년 주기로 반복되는 기후 주기의 일부다.

 

✅ 소빙하기(Little Ice Age)와 구분 필요: 이는 중세~근대에 있었던 기후 소변동으로, 진정한 '빙하기'로 분류되지 않는다.


2. 공식적인 마지막 빙하기는 언제인가?

과학적으로 인정되는 '마지막 빙하기'는 약 2만 1천 년 전~1만 년 전까지의 기간이다. 이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최빙기(Last Glacial Maximum, LGM)로 정의된다.

구분 시기 주요 특징
최빙기(LGM) 약 21,000년 전 빙하가 북미·유럽 전역으로 확장됨
종료 시점 약 11,700년 전 현재의 간빙기(Holocene Epoch) 시작


 이 시점 이후를 우리는 '현대 간빙기(Holocene)'라고 부르며, 인류 문명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3. 빙하기는 왜 반복되는가?

빙하기는 단순히 기온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다음과 같은 지구의 천문학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 공전 궤도 변화(이심률): 지구 궤도의 타원형 변화
  • 자전축 기울기 변화(경사 변화): 태양복사 에너지 분포 차이 유발
  • 세차운동: 자전축 방향이 도는 움직임 (만년 단위 변화)

이러한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설명한 것이 바로 밀랑코비치 주기(Milankovitch Cycles)이다.


4. 현재 우리는 빙하기인가, 아닌가?

놀랍게도 지질학적 정의상, 우리는 여전히 '빙하기'에 있다. 단지 그 안에서 '간빙기(Interglacial)', 즉 따뜻한 시기를 지나고 있을 뿐이다.

용어 설명
빙하기(Ice Age) 극지방에 영구빙이 존재하는 시기 전체를 포함
간빙기(Interglacial) 빙하기 중 비교적 따뜻한 주기 (현재 해당)

즉, 북극과 남극에 대륙 빙하가 존재하는 지금도 지구는 빙하기의 일부다.


5. 다음 빙하기는 언제 올까?

과학자들은 자연 주기상 다음 빙하기가 수천 년 이내에 다시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하지만:

  • 인류의 온실가스 배출이 자연 빙하기 주기를 지연시키거나 완전히 억제할 가능성이 제기됨
  • 일부 연구는 “다음 빙하기는 5만 년 이상 연기될 수 있다”고 예측

즉, 인류 활동이 지질학적 주기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이라는 것이다.


6. 정리

  • 공식적인 마지막 빙하기는 약 2만 1천 년 전 ~ 1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최빙기로 정의된다.
  • 현재는 간빙기(Holocene Epoch)로, 빙하기 중 따뜻한 구간에 해당한다.
  • 빙하기는 밀랑코비치 주기와 같은 천문학적 요소로 반복되며, 인류의 환경영향이 다음 빙하기의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