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최초의 화장실(The First Toilet)에 대해서 알아보자
    흥미를 위한 공간/최초 시리즈 2025. 5. 26. 18:09
    728x90

    최초의 화장실(The First Toilet)에 대해서 알아보자.

     

    현대인의 일상에서 너무나도 당연한 존재인 화장실. 하지만 인류가 언제부터 ‘화장실’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었는지는 생각보다 흥미롭고 복잡한 역사적 배경을 품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화장실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고대 문명 속 배설 시스템, 변기의 진화, 현대식 화장실로 발전한 과정까지 한번 알아보자.


    1. 인류 최초의 화장실 흔적: 기원전 3000년 수메르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기원전 약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수메르 지역에서 석재로 된 고정식 배설구와 간이 하수 시스템이 발견되었다. 이는 단순히 야외에 배설하던 단계에서 한 발 더 나아간 인류 최초의 ‘시설화된’ 배설 공간이었다.

    • 주거지 내부에 돌로 만든 좌변기 형태
    • 점토 파이프를 통해 배설물을 외부로 유도
    • 귀족 계층에서만 사용되었을 가능성 높음

    📌📌 이는 화장실의 핵심 개념인 “프라이버시 + 위생 + 배출 통제”라는 세 요소가 모두 최초로 등장한 시점으로 볼 수 있다.

     

    아마 이렇게 생기지 않았을까? 상상도.

     


    2. 인더스 문명의 정교한 하수 및 배수 시스템

    현존하는 가장 정교한 고대 화장실 시스템은 인더스 문명(기원전 2600~1900년)의 모헨조다로(Mohenjo-daro)에서 발견되었다.

    • 모든 가정에 개별 화장실 존재
    • 배수로를 통해 물로 씻겨 배출, 수로 연결
    • 공공 욕실, 하수도, 우물까지 설계된 도시 구조

    ➡️ 이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도시형 위생 설계 시스템으로 평가받는다.


    3. 고대 로마의 다인용 화장실과 하수 문화

    고대 로마는 다중 사용 화장실(public latrine) 개념을 정립한 문명이다.

    • 돌 의자형 구멍이 나란히 있는 공공 화장실
    • 흐르는 물로 계속 세척되는 구조
    • 스펀지와 막대기를 이용한 공용 휴지 개념
    • 고대 로마의 거대한 하수도 시스템(클로아카 막시마)과 연결

    ⚠️ 프라이버시 개념은 없었고, 주로 사회적 공간 또는 정치적 토론 장소로도 활용되었다.


    4. 중세 유럽의 위생 암흑기와 '변소'의 퇴보

    중세 시대에는 하수 시스템이 붕괴되면서 위생 개념이 크게 후퇴했다.

    • 대다수 사람이 길거리, 바가지, 성 외벽 등을 이용
    • 귀족층은 성 내 ‘출입구 돌출형 변소(Garderobe)’ 사용
    • 냄새 차단을 위한 허브, 향료 사용

    📌 흥미롭게도, 이 시기에는 향수를 뿌리는 이유 중 하나가 변 냄새를 감추기 위해서였다.


    5. 근대 변기의 등장과 진화

    • 1596년, 영국의 존 해링턴(John Harington)이 최초의 수세식 변기 설계 (엘리자베스 1세에게 헌정)
    • 1775년, 알렉산더 커밍스(Alexander Cumming)S자 배관(s-trap, s트랩) 설계로 악취 차단
    • 이후 토머스 크래퍼(Thomas Crapper)가 플러시 변기 상용화에 기여

    ➡️ 이로 인해 현대식 수세식 화장실의 기반이 완성됨


    6. 한국 최초의 화장실은?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도 개인이나 왕족 중심의 배설 공간이 존재했지만, 가장 구체적인 고고학적 증거통일신라 시대의 황룡사 터에서 확인된다.

    • 경주 황룡사지에서 목제 수세식 화장실 흔적 발견 (국내 최고)
    • 물을 이용해 오물을 씻어내는 배수 구조 존재
    • 불국사,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도 수세식 배출 시스템 추정

    📌 조선시대에는 ‘측간(厠間)’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고, 왕실과 사대부 집안 중심으로 독립된 배변 공간이 존재했다. 일반 서민은 주로 퇴비장 역할을 겸한 변소를 사용했다.

     

    ➡️ 한국에서도 물의 흐름을 이용한 위생적 화장실 개념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7. 현대 화장실의 보편화와 스마트화

    • 20세기 중반 이후 위생 관념의 대중화, 도시 인프라 발달과 함께 각 가정에 보급
    • 일본에서는 비데 일체형 스마트 변기, 센서 감지, 자동 물내림 등으로 기술적 진화
    •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공중위생 문제가 남아 있어 간이식 화장실 개발, UNICEF 캠페인 등도 활발히 진행 중

    📌 화장실은 단순한 '변기'가 아니라, 공중보건, 기술, 인권과 직결되는 사회 구조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