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기압(atmospheric pressure)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흥미를 위한 공간/원리 시리즈 2025. 5. 29. 17:55
    728x90

     

    대기압(atmospheric pressure)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대기압(atmospheric pressure)은 우리가 일상에서 직접 느끼지 못하지만, 생명 유지와 다양한 기술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물리적 힘이다. 이 글에서는 대기압이 발생하는 원리, 수식적 표현, 고도 변화에 따른 특성, 기술적 활용까지 과학적이고 기술적으로 자세히 설명한다.


    1. 대기압이란 무엇인가?

    대기압(atmospheric pressure)이란 지구를 둘러싼 대기(공기)의 무게가 지표면에 가하는 압력이다. 공기도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중력에 의해 지표면 방향으로 끌려 내려가면서 아래에 있는 물체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한다.

    • 해수면 기준 평균 대기압: 1 atm = 101,325 Pa = 101.325 kPa
    • 이는 1제곱미터당 약 10,000 kg의 공기 무게가 누르는 힘과 같다.

    2. 대기압의 발생 원리

    • 공기의 질량(mass of air): 공기는 질량을 가진 기체 입자의 집합이다.
    • 중력(Gravity): 질량을 가진 공기 입자들이 지구 중심 방향으로 끌려 내려오며, 아래쪽 공기를 압축하고 압력을 생성한다.

    즉, 대기압은 지구 대기의 전체 무게가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다.


    3. 대기압의 수식 표현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대기압은 다음의 기본 유체 정압 공식으로 근사 계산할 수 있다:

    P = ρgh
    • P: 압력 (Pa)
    • ρ: 공기의 밀도 (kg/m³)
    • g: 중력가속도 (9.81 m/s²)
    • h: 공기층의 높이 (m)

    실제로는 공기 밀도는 높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지수함수적 감소 형태의 대기압 공식이 사용된다:

    P = P0 · e^(-Mgh/RT)
    • P₀: 해수면 기준 압력
    • M: 공기의 몰 질량
    • R: 기체 상수
    • T: 온도 (K)

    4. 고도와 대기압의 관계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은 낮아진다. 이는 높은 고도일수록 위에 놓인 공기 기둥의 질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고도 평균 대기압
    해수면 (0 m) 101.3 kPa
    1,000 m 약 89.9 kPa
    5,000 m 약 54.0 kPa
    10,000 m 약 26.5 kPa

     

    대기압이 낮아지면 산소 농도도 낮아져, 호흡이 어려워진다 → 고산병 원인


    5. 진공의 개념과의 대비

    • 절대압(absolute pressure): 완전한 진공(0 Pa)을 기준으로 한 압력
    • 대기압(atmospheric pressure): 지구 대기 기준의 절대압
    • 게이지압(gauge pressure): 대기압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측정한 압력

    예:

    • 타이어 압력계는 게이지압 표시: 250 kPa → 실제는 대기압 더해서 약 351.3 kPa
    • 진공 포장: 내부 압력을 대기압보다 훨씬 낮게 만들어 밀봉함

    6. 대기압의 기술적 활용

    분야 활용 사례
    항공우주 고도계, 여압 시스템, 산소 공급 장치
    자동차 내연기관 흡기 압력 센서(MAP 센서), 타이어 압력 측정
    기상학 기압계로 날씨 예측, 고기압/저기압 분석
    산업계 진공 포장, 음압 챔버, 진공 건조
    의학 고압산소치료실, 음압병실(격리용), 인공호흡기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