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달에서는 무슨 냄새가 날까?(The smell of the moon)
    흥미를 위한 공간/공식 시리즈(OFFICIAL) 2025. 6. 7. 10:17
    728x90

    달에서는 무슨 냄새가 날까?(The smell of the moon)

     

    인류는 달에 발을 디딘 지 반세기가 넘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달에서는 어떤 냄새가 날까?"라는 호기심을 품고 있다. 공기가 없는 우주에서 냄새를 맡을 수 있을까? 이 글은 NASA 공식 자료와 실제 우주인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달의 냄새'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한다.


    1. 공기 없는 달에서 냄새가 난다고?

    달에는 대기가 없다. 따라서 달 표면에서 냄새를 맡는 일 자체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주인들이 우주복을 입고 달 표면을 걷고 돌아온 후, 우주선 내부에서 우주복이나 장비에 묻은 달 먼지를 통해 냄새를 경험한 사례들이 보고되었다.


    2. 우주비행사들이 증언한 "달의 냄새"

    아폴로 11호부터 17호까지, 여러 우주인들은 달 먼지와 관련된 냄새를 묘사한 바 있다.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냄새는 다음과 같다:

    • 화약 냄새 (Burnt gunpowder)
    • 불에 탄 바위 또는 숯 냄새 (Charred rock or fireplace ash)

    👨‍🚀 실제 증언들

    • Buzz Aldrin (아폴로 11호): “우주복에 묻은 달 먼지를 맡자 불에 탄 화강암처럼 느껴졌다.”
    • Gene Cernan (아폴로 17호): “달 먼지는 화약 냄새와 매우 유사했다. 마치 총을 쏜 직후 탄피 냄새 같았다.”
    • Harrison Schmitt (아폴로 17호, 지질학자): “신선한 달 토양은 불에 탄 숯의 냄새가 났다.”

    3. 왜 그런 냄새가 날까?

    1) 산화되지 않은 광물의 반응

    • 달은 대기가 없기 때문에 광물들이 산화되지 않은 채 존재한다.
    • 이 상태의 먼지가 지구 대기 중으로 들어오면, 산소와 반응하여 냄새를 발생시킨다.

    2) 정전기와 태양풍의 영향

    • 달 표면은 태양풍과 미세 운석 충돌로 인해 정전기적으로 충전되어 있다.
    • 이런 먼지가 우주선 내부 공기와 접촉하면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다.

    3) 화학 구조의 유사성

    • 달 먼지에는 실리콘, 철, 마그네슘 산화물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이 연소 후 남은 성분과 유사한 화학 구조를 갖고 있어 유사한 냄새를 유발할 수 있다.

    4. NASA는 이를 어떻게 설명했을까?

    NASA는 공식적으로 "달 먼지는 연소 후 남은 재와 비슷한 냄새를 낸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 NASA 기술문서에서는 우주복의 재질 보호나 내부 공기 순환 시스템 설계 시 달먼지의 입자 크기와 반응성을 주요 고려사항으로 언급한다.
    • 장기적으로 달기지 건설 시 '먼지 통제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5. 달의 물질 + 지구 물질 = 달의 냄새

    결국, 달은 공기 없는 공간이기에 냄새 자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주인이 직접 경험한 냄새, 그것은 달의 물질이 지구 환경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생긴 것이다.

    이 경험은 단순한 개인 감상이 아닌, 일관된 보고와 과학적 설명이 뒷받침된 현상으로, 공식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