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보리(Barley)에 대해서 알아보자.
    사는게 그런거지 뭐.../소소 생활 정보 2025. 5. 1. 17:28
    728x90

    보리(Barley)에 대해서 알아보자.

     

    보리는 오랜 역사를 가진 대표적인 곡류로, 전 세계에서 널리 재배되고 활용되는 작물이다. 주식은 물론 차, 누룽지, 맥아, 간식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며 건강 식품으로도 인기가 많다. 이번 글에서는 보리의 효능, 부작용, 영양성분, 다이어트 활용, 농사 정보, 종류 구분, 알레르기 주의사항 등 보리에 대한 거의 모든 정보를 8개의 챕터로 정리해본다.


    1. 보리란? 

    • 영어로는 barley라고 하며, 학명은 Hordeum vulgare L.이다.
    • 어원은 고대 영어 ‘bere’에서 유래, 독일어의 'Gerste'와 어근이 같다.(두 단어다 '보리'를 뜻한다.)
    •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이년생 작물이며, 키는 60~120cm 정도 자란다.
    • 귀리(oat)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귀리는 Avena속 식물로 보리와는 다르다.

    2. 보리 및 보리차 효능

    • 식이섬유 풍부: 변비 개선, 장 건강 증진
    • 콜레스테롤 개선: 베타글루칸이 LDL 콜레스테롤 감소에 도움
    • 혈당 조절: 저혈당지수(GI) 식품으로 당뇨 환자에게 좋음
    • 다이어트 효과: 포만감이 높고 칼로리는 낮아 체중 감량에 유리
    • 심혈관 건강 보호: 혈압 조절, 혈액순환 개선
    • 보리차 효능: 이뇨 작용, 체내 노폐물 배출, 구강 내 염증 완화, 항산화 효과

    3. 보리 부작용 

    • 글루텐 함유: 밀과 마찬가지로 글루텐을 포함하므로 셀리악병 환자는 섭취 금지
    • 옥살산(oxalate) 함유: 과다 섭취 시 신장결석 위험 증가
    • 보리 알레르기: 복부 팽만, 두드러기, 위장 장애 등 드물게 발생
    • 철분 흡수 저해: 피틴산이 미량 존재,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음 (과도한 섭취 시)

    4. 보리 칼로리 및 영양성분

    항목 수치(100g 기준)
    열량 약 354kcal
    탄수화물 73.5g
    단백질 12.5g
    지방 2.3g
    식이섬유 17.3g
    혈당지수(GI) 28~30 (낮음)
    • 탄수화물 비중이 높지만 혈당지수는 낮음 (복합탄수화물)
    • 단백질 함량이 밀보다 높아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적합
    • 식이섬유 함량이 매우 높아 다이어트나 장 건강에 탁월함

    5. 보리 다이어트 활용

    • 포만감 높음: 식이섬유가 풍부해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을 줌. 특히 수용성 식이섬유는 물을 흡수해 위 안에서 팽창하며, 자연스럽게 식욕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임.
    • GI지수 낮음: 혈당 급등을 막아 체지방 축적 억제에 도움. 정제된 곡물보다 인슐린 분비를 낮게 유지시켜 지방 저장을 줄임.
    •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 복합탄수화물로 구성돼 있어 급격한 혈당 변화 없이 오랜 시간 에너지를 공급해줌.
    • 보리밥, 보리죽, 보리차 등으로 일상 식단에 쉽게 활용 가능: 백미와 혼합해 먹는 보리밥은 쫀득하고 담백한 맛으로 식감도 좋고 영양도 높아짐.
    • 보리 누룽지로 간식 대체 시 혈당 안정화에도 도움: 튀기거나 설탕이 들어간 간식 대신 고소한 보리 누룽지를 활용하면 칼로리는 낮고 포만감은 높음.
    • 장 기능 개선으로 체중 감량 간접 효과: 장내 유익균 증식을 도와 변비 개선 및 복부 팽만 해소에 기여해 다이어트에 간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식이섬유가 풍부해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을 줌

    6. 보리 농사에 관해서

    • 파종시기: 10월 중순~11월 초 (월동형 보리 기준)
    • 심는 시기: 지역 및 품종에 따라 조절 (남부는 11월 초까지 가능)
    • 수확시기: 이듬해 5월~6월 중순, 보리이삭이 누렇게 익고 껍질이 단단해졌을 때 수확
    • 기계 수확 후 건조 및 탈곡 과정을 거쳐 저장

    7. 보리의 종류

    • 보리 vs 밀:
      • 보리: 껍질이 벗겨지지 않고 쌀보다 단단하며, 식이섬유 풍부
      • 밀: 주로 밀가루 제조에 쓰이며 글루텐 성분이 더 강함
    • 보리 vs 찰보리:
      • 찰보리는 당질 구조상 아밀로스 함량이 낮아 찹쌀처럼 쫀득한 식감
    • 보리 vs 맥아:
      • 맥아는 보리를 싹 틔운 뒤 건조시킨 것으로 맥주·엿기름 제조에 사용
    • 보리 vs 귀리:
      • 귀리는 Avena속으로 별도 작물이며 단백질, 지방 함량이 보리보다 높음

    8. 보리의 저장 및 유통

    • 유통기한: 일반적으로 보리쌀은 1년 이내, 보관 상태에 따라 6개월~1년 권장
    • 저장 방법: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밀봉 보관 (습기 주의)
    • 보리차, 누룽지 등 가공 형태는 유통기한이 제조일자 기준으로 명시됨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