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절(三一節, March 1st Movement)에 대해서 알아보자사는게 그런거지 뭐.../소소 생활 정보 2025. 3. 1. 10:13728x90
3.1절(三一節, March 1st Movement)에 대해서 알아보자.
3.1절은 1919년 3월 1일, 일제 강점기 시절 대한독립만세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난 날을 기념하는 대한민국의 국경일이다. 이를 3.1운동(三一運動) 또는 기미독립운동이라고도 하며, 한국 독립운동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된다. 3.1절은 단순한 독립운동을 넘어 민족 자결과 항일 저항의 상징으로 남아 있으며, 오늘날에도 그 의미가 깊이 새겨져 있다. 이번 글에서는 3.1운동까지 자세히 살펴보자.
1. 3.1운동의 시대적 배경
✅ 한일병합 이후 일본의 식민 통치
1910년 한일병합조약이 강제로 체결되면서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일본은 무단통치(1910~1919년)를 시행하며, 한국인의 기본적인 권리를 박탈하고 강압적인 통치를 펼쳤다.
- 헌병경찰제도 도입: 한국 전역에 헌병과 경찰을 배치하여 감시와 억압을 강화함.
- 언론·출판·집회·결사 자유 박탈: 독립운동을 탄압하고 한국인의 의견 표명을 제한함.
- 토지조사사업(1912~1918): 한국 농민들의 토지를 강제 수탈하여 일본인 지주들에게 제공함.
- 창씨개명 강요(1939년 이후 확대): 한국인의 정체성을 말살하기 위한 동화정책이 추진됨.
✅ 국제 정세와 독립 열망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민족자결주의 확산
- 1918년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이 민족자결주의를 선언.
- 이는 "각 민족은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권리가 있다"는 원칙으로, 한국인들에게 독립운동의 계기가 됨.
- 2.8 독립선언(1919.2.8, 도쿄)
- 일본 도쿄에서 조선 유학생들이 "조선 독립"을 외치며 독립선언서를 발표.
- 이는 3.1운동의 직접적인 촉매제가 됨.
2. 3.1운동의 계획과 준비 과정
📜 독립선언서 작성 및 발표 준비
1919년 2월, 조선청년독립단을 중심으로 독립선언서 초안이 작성되었다. 최남선, 한용운, 이승훈, 김병조 등 33인이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기로 결정했다.
독립선언서의 주요 내용:"오등(吾等)은 자(玆)에 우리 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
이 선언서는 기독교, 천도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 및 사회 계층의 대표자들이 서명하며 전국적인 운동으로 확산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3. 3.1운동의 전개 과정
📢 3월 1일 서울에서 시작된 독립 만세 운동
- 독립선언서 발표
-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 대표 33인이 독립선언서를 낭독.
- 일본 경찰의 검거를 피하기 위해, 민족대표들은 스스로 체포를 감수하며 평화적인 독립운동임을 강조함.
- 탑골공원에서의 첫 시위
- 같은 시각 탑골공원에 모인 학생과 시민들이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며 대규모 시위를 전개함.
- 군중은 서울 주요 도로로 행진하며, 시위는 점점 커짐.
🔥 전국으로 확산된 만세 운동
3월 1일 이후 만세운동은 전국적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 평양과 함경도 지역
- 3월 1일 평양에서 수천 명이 시위에 나섰으며, 일본 경찰이 이를 강경 진압.
- 3월 4일 함흥에서도 대규모 시위가 발생함.
-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
- 대구(3월 8일), 광주(3월 10일), 전주(3월 11일)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펼쳐짐.
- 장터와 학교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주도하는 시위가 잇따름.
- 충청도와 강원도 지역
- 천안 아우내 장터(3월 1일): 유관순 열사가 중심이 되어 만세운동을 주도함.
- 강릉, 원주, 충주 등지에서도 연일 독립 만세 시위가 벌어짐.
🚔 일본의 무력 진압
일본은 군대와 경찰을 동원하여 시위를 폭력적으로 탄압했다.
- 제암리 학살 사건(1919.4.15)
- 일본군이 제암리 교회에 주민들을 가둔 후 불을 지르고 학살함.
- 유관순 열사의 투옥과 순국
- 천안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던 유관순이 체포되어 옥중에서 고문을 당하고 순국.
- 시위 참가자 대량 체포
- 3.1운동 기간 동안 수만 명이 체포되고, 7,500여 명이 목숨을 잃음.
4. 3.1운동 이후의 영향과 결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4.11)
- 3.1운동 직후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됨.
-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확대되고, 독립운동 단체 간 협력이 강화됨.
✅ 국제 사회의 주목
- 중국 5.4 운동(1919.5.4): 한국의 3.1운동에서 영향을 받아 중국에서도 반일 시위가 발생.
- 미국, 영국 등의 언론 보도: 국제 사회가 일본의 식민 통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됨.
5. 3.1운동 주요 인물
3.1운동을 주도하거나 큰 영향을 미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인물 역할 손병희 천도교 지도자, 독립선언서 발표 주도 이승훈 기독교계 대표, 독립운동가 한용운 불교계 대표, 독립운동가, 독립선언서 서명 최남선 독립선언서 초안 작성 이광수 독립선언서 인쇄 및 배포 담당 유관순 천안 아우내 장터 만세운동 주도, 옥중 순국 김마리아 여성 독립운동가, 독립운동 자금 조달 및 여성 조직 주도 정춘수 독립운동 조직 결성 및 지원 활동 박희도 독립선언서 배포 및 민족 대표 활동 728x90반응형'사는게 그런거지 뭐... > 소소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과 바다가 파란색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3.04 대파(Leek, Welsh onion)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3.03 최초의 음계(scale)는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0) 2025.02.26 양파(Onion) 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2.25 호스텔(Hostel)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