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드러기(Urticaria)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사는게 그런거지 뭐.../소소 건강 정보 2025. 4. 18. 17:42728x90
두드러기(Urticaria)에 대해서 알아보자.
두드러기는 누구나 한 번쯤 겪는 흔한 피부 질환이지만, 단순 발진이나 가려움증으로 치부하고 방치하면 만성화되거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원인과 유형이 다양하고, 치료법도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두드러기의 증상, 원인, 종류, 치료 가이드라인 등등을 한번 알아보자.
1. 두드러기란?
- 두드러기(Urticaria)는 피부의 혈관이 일시적으로 확장되면서 발생하는 팽진과 가려움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 보통 수 시간 이내 사라지며, 피부에 붉은 반점과 부풀어 오른 발진이 갑자기 생겼다가 사라진다.
- 전체 인구의 약 20%가 일생에 한 번 이상 경험하며, 급성과 만성으로 나뉜다.
2. 주요 증상과 종류
● 두드러기 증상
-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붉은 발진이 생김
- 극심한 가려움
- 체온 상승, 스트레스 등 자극에 반응
- 손톱으로 긁으면 쉽게 긁힌 자국이 남음
- 일부는 전신 증상(호흡곤란, 복통 등)을 동반하기도 함
● 두드러기와 발진의 차이
- 발진은 피부에 생기는 모든 종류의 병변을 포함하지만, 두드러기는 짧은 시간 내 사라지고 팽진과 가려움이 동반된다는 특징이 있다.
● 두드러기의 종류
- 급성 두드러기: 6주 이내, 음식, 약물, 감염 등 원인 뚜렷
- 만성 두드러기: 6주 이상 지속, 대부분 원인 불명
- 콜린성 두드러기: 운동, 더위 등으로 땀이 나면서 생김
- 한랭 두드러기: 찬 공기, 찬물 등에 노출될 때 발생
- 압박성 두드러기: 벨트, 가방끈 등의 압력 부위에 생김
3. 두드러기 원인과 전염 여부
● 두드러기 원인
- 음식물: 갑각류, 견과류, 계란, 우유, 밀가루 등
- 약물: 진통제, 항생제, 해열제 등
- 감염: 바이러스, 세균 감염 후 면역 반응
- 물리적 자극: 온도, 압박, 햇빛, 물 등 외부 자극
- 정신적 요인: 스트레스, 피로, 수면 부족
- 자가면역 반응: 만성 두드러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
● 두드러기 전염이 될까?
- 두드러기는 감염성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전염되지 않는다.
- 다만 감염(감기, 인후염 등) 자체가 유발 요인일 수는 있다.
4. 두드러기 치료 및 병원 선택 가이드라인
● 두드러기 치료 방법
- 항히스타민제: 가장 기본적인 치료 약물
- 필요 시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 병용
- 원인 제거가 중요: 음식/약물 중단, 환경 조절 등
● 두드러기 치료 가이드라인 (대한피부과학회 기준 )
- 항히스타민제를 최소 2주 이상 복용 후 반응 평가
- 반응 없을 경우 고용량 항히스타민제로 전환
- 이후에도 효과 없으면 스테로이드나 면역조절제 고려
● 두드러기 병원 어디로 가야 하나?
- 피부과가 1차 선택
- 만성일 경우 면역내과, 알레르기내과로 연계 필요
- 호흡곤란, 혀 붓기 등 아나필락시스 의심 증상 시 응급실로 즉시 방문
5. 두드러기 가라앉히는 법과 응급 대처법
● 증상 완화를 위한 대처법
- 냉찜질, 시원한 샤워로 피부 자극 완화
- 스트레스 완화, 수면 충분히 취하기
- 손으로 긁지 말고, 면 소재 옷 착용
● 두드러기 가려움 심할 때
- 냉찜질이 가장 효과적이며, 항히스타민제 복용 병행
- 카페인, 알코올, 매운 음식 피하기
- 가려운 부위에 로션이나 진정 크림 도포
● 민간요법 (주의 필요)
- 생감자 찧은 것: 생감자에는 항염 성분이 있어 피부 진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
- 알로에겔 바르기: 알로에는 항염, 보습 효과가 있어 가려움 완화와 피부 회복에 좋다고 알려짐
- 오트밀 목욕: 오트밀은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고 히스타민 반응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가 있음
- 녹차 팩: 녹차의 카테킨 성분이 항염 및 항산화 작용을 해 피부 진정에 일부 도움을 줄 수 있음
- 과도한 민간요법은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으니 전문의 진단과 병행 필요
6. 두드러기에 좋은 음식 vs 나쁜 음식
● 두드러기에 좋은 음식
- 비타민C, 항산화 성분 풍부한 채소 (브로콜리, 시금치)
- 오메가-3 지방산 (연어, 고등어 등)
- 수분 보충용 과일 (수박, 참외, 사과 등)
● 두드러기에 나쁜 음식
- 갑각류, 견과류, 계란, 우유, 밀가루 등 알레르기 유발 식품
- 인스턴트, 가공식품, 조미료가 많은 음식
- 카페인, 알코올, 매운 음식: 히스타민 분비 촉진
7. 두드러기 자연치유 가능성과 예방법
● 자연치유 가능성
- 급성 두드러기의 대부분은 2~3일 내 자연 호전됨
- 원인 제거가 되면 치료 없이도 사라지는 경우 많음
- 만성 두드러기는 수개월~수년 지속되기도 함
● 예방법
- 본인에게 맞지 않는 음식·약물 파악해 피하기
-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수면과 생활 습관 유지
- 자극성 화학물질 접촉 최소화
- 과도한 땀, 온도 변화, 마찰 자극 줄이기
728x90반응형'사는게 그런거지 뭐... > 소소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피(nosebleed)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4.20 장염(Enteritis)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4.19 손목터널증후근(CTS, Carpal Tunnel Syndrome)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4.17 독감(flu 또는 influenza)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4.16 안구건조증(Dry Eye Syndrome)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