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sume, Presume = 둘다 [추정하다]가 아닌가? 차이점 정리초보를 위한 영어공부/단어 2025. 3. 13. 11:45728x90
Assume 과 Presume 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영어에서 "추정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 assume과 presume이 있다. 이 두 단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의미에서 차이가 있다. 이번 글에서는 assume과 presume의 차이점, 문맥에 따른 적절한 사용법, 예문 비교, 그리고 관련 표현까지 자세히 알아보자.
1. Assume, Presume 예문 비교
✅ Assume 사용 예문
- "I assumed he was rich because he drove a fancy car."
(나는 그가 비싼 차를 몰았기 때문에 부자라고 가정했다.) - "She assumed I would be at the meeting, but I wasn't invited."
(그녀는 내가 회의에 참석할 거라고 가정했다, 하지만 난 초대받지 않았다.) - "Don't assume things without proof!"
(증거 없이 추측하지 마!)
✅ Presume 사용 예문
- "Since he left work early, I presumed he was sick."
(그가 일찍 퇴근했으니, 나는 그가 아팠다고 추정했다.) - "You are innocent until proven guilty, but the police presumed he was guilty."
(죄가 입증될 때까지는 무죄지만, 경찰은 그가 유죄라고 추정했다.) - "I presume that you have read the instructions before starting."
(나는 당신이 시작하기 전에 설명서를 읽었다고 추정합니다.)
📌 두 예문의 차이점을 알겠는가?
2. Assume과 Presume의 차이를 쉽게 이해하는 방법
✅ 쉽게 이해하기
1️⃣ Assume = 막연한 추측
👉 증거 없이 “그냥 그렇게 생각하는 것”2️⃣ Presume = 논리적 추론
👉 이미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논리적으로 추측하는 것”✅ 상황별 예시
- Assume:
- 친구가 갑자기 연락이 없어서 "바쁜가 보다"라고 생각하는 경우.
- 아는 사람이 길을 걸어가는데 인사하지 않아서 "나를 무시하나?"라고 가정하는 것.
- Presume:
- 친구가 출근 시간에 맞춰 출발했기 때문에 "회사에 도착했겠지"라고 논리적으로 추정하는 것.
- 시험을 잘 본 친구가 "합격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예상하는 것.
3. 📌 Assume과 Presume의 핵심 차이점
단어 의미 차이점 Assume 가정하다, 추정하다 근거 없이 어떤 것을 사실이라고 가정하는 것 Presume 추정하다, 예상하다 이전의 경험, 정보,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어떤 것을 추정하는 것 ✅ Assume은 확실한 증거 없이 어떤 사실을 추측하거나 "그냥 그렇게 생각하는 것"에 가깝다.
✅ Presume은 어떤 근거, 경험, 논리적 추론을 기반으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4. 📚 Assume과 Presume 관련 표현
✅ Assume 관련 표현
- "Take something for granted" → 당연하게 여기다
- (예) "She assumed I would help her, but I had other plans."
- (그녀는 내가 도와줄 거라고 당연하게 생각했다, 하지만 나는 다른 계획이 있었다.)
- "Make an assumption" → 가정을 하다
- (예) "Your assumption was wrong."
- (너의 가정이 틀렸다.)
✅ Presume 관련 표현
- "Presumed innocent until proven guilty" → 유죄가 입증될 때까지는 무죄
- (예) "He is presumed innocent until proven guilty."
- (그는 유죄가 입증될 때까지 무죄로 추정된다.)
- "A reasonable presumption" → 논리적인 추정
- (예) "It is a reasonable presumption that he will be late."
- (그가 늦을 것이라는 것은 논리적인 추정이다.)
5. 헷갈릴수도 있는...
1️⃣ Assume과 Presume은 완전히 바꿔 써도 될까?
👉 어렵다. 일부 상황에서는 바꿔 쓸 수 있지만, Assume은 단순한 가정, Presume은 논리적인 추정이라는 차이를 이해하고 사용해야 자연스럽다.
2️⃣ "I assume so"와 "I presume so"의 차이는?
👉 "I assume so"는 별다른 근거 없이 "아마 그럴 거야"라는 느낌이고, "I presume so"는 "논리적으로 보면 그럴 가능성이 높아"라는 의미에 가깝다.
3️⃣ 법적 용어에서 Assume과 Presume?
👉 법적 맥락에서는 Presume이 더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Presumption of innocence"(무죄 추정의 원칙)는 피고인이 유죄임이 증명될 때까지 무죄로 간주됨을 의미한다.
4️⃣ "Assumption"과 "Presumption"의 차이도 같은 원리일까?
👉 그렇다. Assumption은 "단순한 가정", Presumption은 "논리적 근거가 있는 추정"이다.
728x90반응형'초보를 위한 영어공부 > 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rry와 Apologize..둘 다 사과에 관련된 표현인데..차이점 정리 (0) 2025.03.16 But과 However.. 둘다 [하지만] 아닌가..? 차이점 정리 (0) 2025.03.14 Speak와 Talk 둘다 [말하다]인데... 차이점 정리 (0) 2025.03.12 Trash 와 Garbage...둘다 [쓰레기] 아닌가? 차이점 정리 (0) 2025.03.11 during, for, while.. 다 [~하는동안] 아닌가?? 차이점 정리 (0) 2025.03.06 - "I assumed he was rich because he drove a fancy c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