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상포진에 대해서 알아보자.사는게 그런거지 뭐.../소소 건강 정보 2023. 6. 5. 10:05728x90
대상포진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가 어렸을적에 수두를 일으킨 후 신경 주위에 무증상으로 남아 있다가, 사람이 피곤해서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불규칙적인 식습관으로 영향 불균형 등에 따라서 재발을 하게 된다. 이 때 피부에 통증과 함께 붉은 반점 형식으로 발생하게 된다.
2. 대상포진의 증상
대상포진의 초기증상은 감기나 독감과 비슷하다. 발열, 피로감, 두통, 식욕부진 등이 나타나며 감기와 다른점이 증상이 1~3일정도 지나면 피부 발진이 일어난다. 3~5일 정도 더 지나면 발진 부분이 물집으로 잡히게 되고 피부가 손상되어서 궤양을 만들기도 한다. 1~2주일 지나게 되면 물집부분에 고름이 차고 딱지로 변한다. 많은 통증을 수반한다. 치료 하지 않고 있으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전염성이 약하게 있어서 주변사람들이 너무 무신경 하지 않는 이상은 크게 걱정 안해도 된다.
3. 합병증 종류
- 피부감염 : 발진부위에 세균이 침투하여 치료를 늦출 뿐만 아니라 수포가 생기고 피부에 고름과 농이 생기게 된다. 심한 흉이 남을수 있다.
- 폐렴 : 폐로 전이 되어 가슴통증, 기침, 발열, 더 나아가 호흡곤란 증상 등 을 나타낼 수 있다.
- 뇌염 :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뇌로도 전이가 가능하다. 이 경우 두통으로 시작하여 발열, 혼란, 경력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보이게 되며 심각할 경우 인지기능장애, 치매에 걸리게 된다.
- 시력손상 : 눈 과 이마 주위에 대상포진이 있을 때 시신경으로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침범하여 각막염, 결막염, 급성녹내장 등 시력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수 있다.
- 안면근육 마비 및 청력손상: 귓바퀴 부분의 대상포진이 생기면 그 한쪽면의 얼굴근육마비와 이명이나 난청 같은 영구적인 청력손상을 입을수 있다.
- 척수염 : 대상포진이 척수쪽으로 침범하게 되면 하지위약(다리부분약해짐), 마비, 감각저하, 소대변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대상포진이 나아도 후유증이 있을 확률이 높다.
- 신경통 : 대상포진 환자들의 가장 힘들어하는 이유이자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발진이나 수포는 다 없어졌는데 통증만 남아서 계속 아픈 경우이다.
4. 대상포진 진료과 및 치료
발병 초기(가렵거나 발진이 시작되었을 때) : 피부과, 내과
발병 중후반(고름이 생겼거나 다른 합병증 증세가 있을 때) : 신경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에서 치료를 권장하며
수포발생이 되었을 초기에 항바이러스제를 1주일 정도 주사하면 대부분 완치되나 그래도 재발율이 5% 정도는 된다.
그리고 대상포진 백신으로 완벽한 예방은 불가하다. 백신의 역할은 대상포진에 걸리더라도 증상이 더 가볍게 하거나 신경통의 강도가 약해지게 하는데 있다.
5. 대상포진에 좋은 음식
- 열무 : 비타민 C가 사과의 5배, 일반 1,5배 정도 많은데 백혈구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서 신체의 면역력을 올리는데 좋다.
- 양파 : 혈관개선, 혈액정화의 역할을 하고, 매운맛을 내는 성분들이 체온을 높여주어서 대상포진 예방에 도움이 된다.
- 버섯 : 면역력 증가와 활성산소 제거에 도움을 주고 다당류 성분은 면역력 개선에 도움을 준다.
- 올리브유 : 비타민 함량이 많아서 항산화 작용과 항염작용이 뛰어나다. 필수지방산도 다량 포함되어 있다.
- 등푸른 생선 : 오메가3, DHA, 아미노산등 면역력 상승에 좋은 영양소들이 많고 치매와 빈혈, 각종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ps : 밀가루, 설탕, 기름진고기, 술, 담배, 커피, 인스턴트음식은 면역력을 저하시킨다. 대상포진 증상이 있으면 피하는게 좋다.
6. 대상포진 자가진단 리스트
- 물집이 나타나기 전부터 감기 기운과 함께 일정 부위에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
- 작은 물집들이 몸의 한쪽에 모여 전체적으로 띠 모양으로 나타난다.
- 물집을 중심으로 타는 듯 하고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진다.
- 어렸을 때 수두를 경험하거나 과거 대상포진을 앓았던 경험이 있다.
- 평소 허약하거나 질병으로 면역력이 약하다.
마무리 : 대상포진은 방치하면 꽤나 무서운 질병이다. 적극적으로 치료를 하자.
728x90반응형'사는게 그런거지 뭐... > 소소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기운동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6.09 콩나물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23.06.07 감마지티피(γ-GTP)에 관해서 알아보자. (0) 2023.06.01 가스라이팅(뜻, 화법, 예시, 자가테스트, 극복법) (0) 2023.05.30 감기와 비염의 차이, 비염의 증상, 막힌 코 뚫는법 (0) 2023.05.26